
<파묘> 줄거리
고대 무덤을 발굴하는 능력 있는 풍수사 ‘화림’(김고은) 은 거대한 비밀이 숨겨진 묘를 조사하는 임무를 맡게 된다. 그녀는 베테랑 도굴 전문가 ‘상덕’(최민식) 과 그의 파트너 ‘영근’(유해진), 그리고 젊은 동료 ‘인호’(이도현) 와 함께 특정 명당에 묻힌 오래된 무덤을 파헤칩니다. 미국 LA, 거액의 의뢰를 받은 무당 ‘화림’(김고은)과 ‘봉길’(이도현)은 기이한 병이 대물림되는 집안의 장손을 만납니다. 어린 아기에게까지 대물림된 이상한 병으로 잠조차 편하게 잘 수가 없었습니다. 조상의 묫자리가 화근임을 알아챈 ‘화림’은 이장을 권하게 되고, 돈 냄새를 맡은 최고의 풍수사 ‘상덕’(최민식)과 장의사 ‘영근’(유해진)이 합류하게 됩니다. “전부 잘 알 거야… 묘 하나 잘못 건들면 어떻게 되는지” 절대 사람이 묻힐 수 없는 악지에 자리한 기이한 묘였습니다. ‘상덕’은 불길한 기운을 느끼고 제안을 거절하지만, ‘화림’의 설득으로 결국 파묘가 시작되고… 나와서는 안될 것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작업이 진행될수록 예상치 못한 일들이 연이어 벌어집니다. 이 무덤에는 단순한 유골이 아닌, 강력한 저주가 깃든 존재가 봉인되어 있었던 것입니다. 백두대간에 대못을 박아 대한민국의 혈을 끊으려 했다는 일제강점기의 이야기와 친일파가 연관되면서 개연성을 만들어냅니다. "이 묘를 건드린 순간부터 모든 게 시작됐다." 팀원들은 하나둘씩 기이한 현상을 겪고, 목숨을 잃어갑니다. 화림은 무덤 속에 숨겨진 오랜 원한과 저주의 실체를 밝혀내야만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과연, 그녀는 이 끔찍한 비밀을 풀고 무사히 빠져나갈 수 있을까요?
<파묘> 등장인물
김상덕(최민식)
땅을 찾는 국내 최고의 지관이자 풍수사입니다. 잘 나간다는 집안, 가문에서는 상덕을 통해 묫자리를 보지 않은 사람이 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결혼을 앞둔 딸에게 좋은 혼수를 해주고 싶은 마음으로 무당 화림의 제안을 받아들입니다. 하지만 땅을 보러 가서 마음이 달라집니다. 악지 중에 악지라며 절대 건드리지 말아야 한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결국 맡게 됩니다. 영근, 화림, 봉길을 함께 이끌어가는 역할을 합니다. 돈만 생각하지 않고, 땅 주인의 입장에서 최선을 다해 좋은 땅을 찾아주기 위해 노력하는 인물입니다.
이화림(김고은)
원혼을 달래는 굿을 하는 무속인입니다. 기가 세고 웬만한 사건은 잘 해결할만큼 용하다고 소문이 나있습니다. 함께 다니는 봉길과 사제 지간이면서 가족처럼 끈끈한 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1990년생 백말띠인 화림의 설정은 남아선호사상에 백말띠 여자는 팔자가 사납다하여 가장 많이 낙태를 당했던 시기를 비꼬듯이 표현되었습니다. 그 난관을 뚫고 화림이 탄생한 것입니다. 가장 남녀 성비가 나빴던 1990년생 이화림을 통해 캐릭터를 드러냅니다.
고영근(유해진)
지관 김상덕과 함께 일하는 장의사입니다. 방송출연도 여러 번하고, 전직 대통령까지 염을 했다는 이야기도 나옵니다. 개신교 장로로 사무실에서 교인 모임을 열 정도로 독실한 개신교 신자입니다. 코믹한 연기를 담당하였지만, 시신을 염할 때만큼은 예를 갖추어 정성을 다하는 인물로 묘사됩니다.
윤봉길(이도현)
화림과 함께 다니는 경문을 외는 법사입니다. 몸에 경전을 새겨놓아 눈길을 끕니다. 극 후반부에 경점 문구가 원혼으로부터 보호해준다는 설정에서 이해가 갔습니다. 원래는 박수무당이 될 운명이었으나 화림을 만나 제자로 지내면서 화림을 믿고 의지하면서 보호하려고 노력합니다. 대사가 별로 없지만 화림의 옆을 항상 지키는 모습으로 듬직한 파트너 역할을 나타내었습니다.
<파묘> 감상평
"보이지 않는 공포가 가장 무섭다.” <파묘>는 단순한 공포 영화가 아닙니다. 풍수, 무속 신앙, 미신 등 한국적인 요소를 바탕으로 심리적 긴장감을 극대화한 작품입니다. 장재현 감독 특유의 미스터리한 연출과 강렬한 비주얼이 어우러져 "느리지만 서서히 조여오는 공포" 를 만들어냅니다. 김고은은 ‘화림’ 역할을 맡아 냉철한 풍수사이자 강인한 생존자의 모습을 완벽히 표현했습니다. 초반엔 이성적이지만, 사건이 진행될수록 두려움과 결단력 사이에서 갈등하는 감정 연기가 인상적입니다. 최민식과 유해진은 영화의 중심축을 잡아주며, 캐릭터 간의 긴장감을 배가시킵니다. 특히, 최민식이 맡은 ‘상덕’은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열쇠를 쥔 인물로, 마지막 반전까지 몰입도를 높입니다. <검은 사제들>, <사바하>로 이미 독창적인 오컬트 세계관을 구축한 장재현 감독답게, 이번 작품에서도 한국적 정서와 미스터리한 분위기를 조화롭게 그려냈습니다. 잔인한 장면 없이도 음산한 색감, 소리, 공간 연출만으로 공포감을 극대화했습니다. 무덤을 파헤치면서 밝혀지는 저주의 실체, 그와 얽힌 캐릭터들의 과거와 운명…... 단순한 공포영화가 아니라 추리와 미스터리가 결합된 탄탄한 이야기가 돋보입니다. 역사와 관련된 이야기마저 우리 한국인에게는 친근하게 다가오며 설득력을 높입니다. 열린 결말 스타일이라 해석의 여지가 남아 있습니다. 어떤 사람에게는 여운이, 어떤 사람에게는 답답함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시작부터 끝까지 눈을 뗄 수 없는 스릴러 영화였습니다. 심리적 긴장감을 늦추게 하지 않았으며, 한국적인 오컬트 장르를 좋아한다면 몰입하여 재미있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당신이라면 이 묘를 파헤칠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