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더랜드> 줄거리
《원더랜드》는 죽거나 의식이 없는 사랑하는 사람을 AI 영상통화로 재현해주는 가상 서비스 원더랜드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지는 영화입니다. AI 기술이 발전한 가까운 미래, 사람들이 잃어버린 존재를 되찾기 위해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감동적이면서도 철학적인 질문을 던지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영화는 옴니버스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사랑하는 연인 사이인 정인과 태주는 어느 날 사고로 태주의 죽음을 맞게 됩니디ㅏ. 원더랜드 서비스를 통해 AI로 재현된 태주와 다시 소통하며, 잃어버린 사랑을 되찾으려 하지만 현실과 가상의 경계에서 혼란을 겪게 됩니다. 원더랜드의 서비스 운영자인 해리와 현수는 AI 로 재현된 존재들과 사용자들의 감정을 조절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인간의 감정을 AI로 위로하는 것이 과연 옳은가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됩니다. 바이리는 원더랜드의 이용자입니다. 그의 어머니가 손녀딸과 바이리가 대화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연결했습니다. 하지만 결국 서비스를 종료하고 손녀와 할머니는 중국으로 떠나게 됩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을 때, 가상 세계에서 다시 만날 수 있다면 어떨까요? 기술이 감정을 대신할 수 있을까요? 가상과 현실의 경계에서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 원더랜드는 사랑과 그리움, 그리고 인간과 AI 관계를 철학적으로 탐구하는 감성 영화입니다. 현실과 가상의 경계에서 벌어지는 감정의 소용돌이를 다룬다는 점에서 깊은 여운을 남깁니다.
<원더랜드> 등장인물
바이리(탕웨이)
어린 딸에게 자신의 죽음을 숨기기 위해 원더랜드 서비스를 신청하게 됩니다. 원더랜드 서비스 안에서 자신의 죽음을 깨닫고 큰 혼란을 겪게 되고, 결국 서비스가 종료됩니다.
성준(공유)
원더랜드 서비스에서 바이리의 멘탈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맡은 AI 입니다.
정인(수지)
태주 여자친구로, 태주를 잊지 않기 위해 원더랜드 서비스를 신청했습니다. 매일 아침 저녁으로 태주와 통화하며 그의 숨결을 느낍니다. 하지만 어느 날 이게 진짜 태주일까? 라는 생각으로 의문을 가지고 원더랜드 서비스를 종료하고자 합니다.
태주(박보검)
정인 남자친구입니다. 정인을 정말 사랑했으나 사고로 목숨을 잃게 됩니다. 원더랜드 안에서 가상의 태주는 마치 자신의 죽음을 전혀 모른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박보검의 1인 2역 연기가 돋보입니다.
해리(정유미)
원더랜드 수석플래너입니다. 어려서 부모님을 잃고 원더랜드를 통해 부모님과 연결되어 살아갑니다. 어쩌면 원더랜드의 좋은 점의 혜택을 가장 많이 받았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원더랜드의 순기능을 보여준 것입니다.
현수(최우식)
원더랜드 신입플래너입니다. 사고로 손자를 잃은 할머니가 손자에게 모든 것을 다 해주고 싶어하는 마음을 마주합니다. 하지만 원더랜드의 손자는 자신이 죽은 줄 모르고 사고싶은 게 끝도 없습니다. 살아있는 할머니의 삶이 더 중요할까요? 아니면 원더랜드에 있는 손자의 안녕이 더 중요할까요? 현수의 고민이 시작됩니다.
<원더랜드> 감상평
가상의 재회가 진짜 사랑이 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뒤, 가사으이 세계에서 다시 만날 수 있다면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하게 될까요? 자신의 연인이었지만 가상 세계 속 재회가 진짜 감정이 될 수 있을지 고민하게 됩니다. 비슷한 상황에 놓여 있는 다른 인물들도 현실과 가상 사이에서 감정을 혼란스러워하는 모습이 깊은 여운을 남깁니다. 원더랜드 시스템을 관리하는 정유미와 최우식 캐릭터를 통해 AI 가 인간의 감정을 대체할 수 있을까? 라는 철학적인 질문을 던지게 됩니다. 결국 인간이 원하는 원하는 것은 진짜 감정인지, 그 감정을 잊지 않도록 돕는 기억인지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하게 만듭니다. 수지와 박보검, 탕웨이와 공유, 정유미와 최우식의 케미가 인상적이며, 배우들의 섬세한 감정연기가 돋보입니다. 김태용 감독 특유의 감성적인 연출이 돋보입니다. 차분한 색감과 몽환적인 분위기가 영화의 감성을 극대화 시킵니다. OST도 분위기를 살려주는 요소였습니다. 감미로운 음악이 영화의 감정선을 따라 흐르면서 몰입감을 더해주었습니다. 기술과 감정이 맞닿는 순간,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하게 될 것인가? 라는 철학적인 질문을 던지는 영화로 현실과 가상의 경계에서 갈등하는 인물들에게 감정이입이 될 만큼 어쩌면 현실적입니다. 사랑과 기억에 대한 깊은 울림을 작품. 감상적인 SF영화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추천합니다.